1. 기업 개요
2012년 설립하여 디지털 헬스 플랫폼, 솔루션, 디지털 치료제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벤처기업
2. 생산품
1) 라이프레코드: 개인 건강기록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헬스 기술 플랫폼임.
- 개인 건강기록의 디지털 전환을 통해 고객 수요에 맞는 디지털 서비스 제공 지원
- 헬스케어 연관 산업의 기술적 문제를 관리하거나 백엔드 기능 지원.
2) 디지털 헬스 솔루션: 비대면 진료 플랫폼 등등
- 닥터콜 비대면 진료 플랫폼: 의료기기 인허가를 획득하여 사용자 애플리케이션과 의료인 용 웹으로 구성.
- 하이(H.AI): Health와 AI 합성어 : 국민건강보험공단의 DB을 통해 특정 질환의 확률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
보험영업 등에 필요한 자료 제공.
- 오하(OHA): 암 경험자 간 치료 경험 공유, 관련 재화 및 서비스를 도움
-윅스(Works) : 작업환경 유해인자 정보와 검진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업형태별 산업안전보건업무 솔루션 제공
3) 디지털 치료제: Redpill 개발
-질병이나 장애를 예방, 관리, 치료하기 위해 환자에게 근거 기반의 치료적 중재를 제공하는 고도화된 소프트웨어
의료기기의 일종
3. 사업 구조
- 라이프 레코드 수익구조: 서비스 사용료, 컨설팅 비용, 개인 건강측정 디바이스 판매
- 닥터콜 수익구조: 의료진과 환자 사이에 진료비 20%을 수수료 형태로 수취.
- 하이 수익구조: 대형 GA, 보험사, 핀테크, 건강기능식품회사에게 정기구독권 사용료
- 오하 수익구조: 암 환자에게 필요한 재화, 서비스 판매 시 중개수수료
- 윅스 수익구조: 사업장에 월 정액제로 과금
- 레드필: 건강보험 등에 편입되어 의료기관에게 사용료 받음.
* 한화생명보험 통합건강관리 앱의 라이프 레코드 기반 운영 및 고도화와 바디프랜드와의 공동사업 계약 등으로 매출을 시현하고 있으며, 향후 건설사 관련 홈 인트라넷 회사와의 스마트 홈 헬스케어 사업 계약 진행, 재외국민 대상 비대면 진료 플랫폼 서비스 개시 및 디지털 치료제 상용화로 추가적인 매출이 발생하게 되어 향후 매출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추정
4. 재무제표
5. 투자 시 유의 사항
1) 사업 위험
- 정부 정책 및 규제 변화에 따른 추가 비용이 들거나 매출 실현이 불투명해지는 위험 존재.
- 개인정보처리와 관련된 규제 및 법령 강화시, 데이터 수집에 제약이 생김으로 재무 안정성에 부정적 영향
- 디지털 치료제 인허가 지연 및 상용화 실패 위험
- 비대면 의료에 대한 부정적 사회통념으로 사회적 갈등이 심화될 가능성 있음.
2) 회사위험
- 기술성장기업 특례 적용이 종료된 이후 영업실적이 악회 되면 관리종목으로 지정 위험 있음.
: 설립 이후 지속적인 영업손실 기록 중.
- 2020년 3분기 별도 재무제표 기준, 부채비율 176%, 유동비율 145%, 차입금 의존도 18%로
재무안정성 악화 가능성. ( 업종 평균 대비 열악)
6. 청약 개요
수요예측 공고일 : 21.03.08
수요예측일: 21.03.08~03.09
청약 공고일: 21.03.11
청약 기일: 21.03.11~03.12
배정 공고일: 21.03.16
납입기일: 21.03.16
'경제 및 투자정보 > 공모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에스케이바이오사이언스- 공모주 청약 정보 (0) | 2021.02.23 |
---|---|
에스케이바이오사이언스- 공모주 청약 주관사 계좌준비 (0) | 2021.02.22 |
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- 공모주 청약 정보 (0) | 2021.02.19 |
싸이버원- 공모주 청약 정보 (0) | 2021.02.19 |
바이오다인- 공모주 청약 정보 (0) | 2021.02.1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