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채권 수익률 = 채권의 금리
채권 수익률 하락 ===> 채권 가격의 상승
(채권 금리 인하)
채권 수익률 상승 ===> 채권 가격의 하락
(채권 금리 상승)
2. 채권의 금리와 주가
채권 금리 인상 ===> 주가 하락
채권 금리 인하 ===> 주가 상승
3. 장단기 금리 스프레드 : 장기 채권의 금리와 단기 채권의 금리 차이
장단기 금리 스프레드 확대 ===> 미래 경기가 좋아질 것이라고 전망
장단기 금리 스프레드 축소 ===> 미래 경기가 침체할 것으로 전망
장단기 금리 역전 ===> 경기 침체의 전조
미국 장단기 금리 스프레드: 10년 물 국채금리와 2년 물 국채금리와의 차이
4. 신용 스프레드 : A채권과 B채권의 금리 차이
신용 스프레드 확대 ===> 회사채 금리 상승 ===> 경기가 불안하다는 뜻
5. 미국 국채
1) T-bills : 만기가 1년이하의 단기채권 ( 3,6,12개월)
2) T-note: 만기가 1년이상 10년 이하인 중기채 ( 2,5,10년)
3) T-bonds: 만기가 10~30년인 장기채 (장기자금의 기준금리 역할)
6. 미국 10년 국채 금리 = 주택담보대출의 기준 금리
10년 국채 금리 인상 ===>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승 ===> 주가/부동산 하락
10년 국채 금리 인하 ===> 주택담보대출 금리 인하 ===> 주가/부동산 상승
7. 미국 10년 국채 금리와 경기 전망
경기 전망이 밝을때 ===> 10년 금채 금리 인상 (수익률 상승)
경기 전망이 어두울 때 ===> 10년 국채 금리 인하 ( 수익률 하락)
8. 미국 10년 국채 금리의 확인하는 곳
1) 인베스팅 닷컴
2) trading economics
'경제 및 투자정보 > 경제상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경제지표의 해석 (0) | 2021.03.17 |
---|---|
주식 PER (0) | 2021.02.24 |
비상장 주식 투자법 (0) | 2021.02.22 |
공모주 관련 용어 해설 (0) | 2021.02.19 |